본문 바로가기

2. Essay/(2) Document

이루다 개발진이 남성이라 이루다가 남성적이다?

반응형

 

① 오늘 저녁 <젠더 뉴스 읽기>에 아래와 같은 사진이 올라왔다. "남성 개발자만 있는 기업에서 어떻게 여성 친화적인 챗봇이 나올 수 있겠냐"고 간접적으로 비판한 셈이다.

페이지 이름이 부끄러울 정도의 아주 실망스러운 비판이다. 남자가 만들어서 이루다가 남성적이라는 비판은 굉장히 일차원적인 접근이다.

② 첫째, 개발자 그룹을 남성 위주로 구성한 회사보다 여성 개발자를 양성하지 않는 개발 문화 전체의 잘못이 더 크다.

IT 회사들을 보면 여성 개발자를 채용하고 싶어도 그 수가 너무 적거나 아예 없어서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굉장히 많다.

반대로 여성 개발자가 있어도 남성 개발자에 비해 프로젝트 수행 경력이나 업무 경력이 짧아 입사하지 못하는 경우도 많다.

남성 개발자가 시장을 대부분 점유하고 있어서 그들만의 리그를 벌이느라 여성 개발자에게 일을 주지 않기 때문이다.

③ 이 문제의 원인은 여성 개발자를 양성하지 않는 개발 문화에 있다. 여성도 동등하게 개발을 하고 관련 프로젝트를 단독으로 수행할 수 있는 기회가 많아진다면 자연스럽게 해결될 일이다.

이처럼 남성 개발자가 절대적인 개발 시장 속에서 여성 개발자를 채용하지 못한 게 단순히 기업의 잘못일까? 

왜 여성 개발자를 채용하지 않았고 노동시장에서 여성 개발자의 수가 왜 적은지 먼저 분석해야 하지 않을까?

더 나아가 업무를 수행할 능력을 갖추지 못했지만 여성이기 때문에 채용해서 생기는 업무적 차질 및 손실은 어떻게 해야 할까? (예: 남성 개발자 경력 10년 vs 여성 개발자 경력 5년)

여성 개발자의 수가 많고 동등한 대우를 받는 상황에서 남성 개발자로만 꾸렸다면 비판받아 마땅하다.

하지만 여성에게 같은 수준의 교육과 채용 기회를 주지 않는 상황이라면 그것부터 비판하며 개선하는 게 맞다. 채용할 인원이 없는데 왜 채용하지 않았냐고 따지면 어쩌라는 걸까.

④ 둘째, 여성이 있으면 여성 친화적으로 변할 것이라는 환상에서 벗어나자.

박원순 서울시장 사태만 보더라도 여성 운동가, 여성가족부 장관 출신, 여성학 전문가 등 다양한 여성들이 피해자를 비난하고 가해자로 지목된 시장을 지지했다.

그룹에 여성이 있다고 친여성적인 정책이 나오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어떤 사람이 있느냐가 더 중요하다. 소위 명예남성, 가부장적 여성 리더, 흉자라고 불리는 사람들이 왜 생겼는지 생각해보면 쉽게 답이 나올 거라 생각한다.

다시 말해서 여성 개발자가 개발팀에 참여했다는 이유 하나로 이루다가 페미니스트가 될 확률은 아주 낮다.

여성이라고 무조건 여성 친화적인 생각을 하지 않으며 결정적으로 페미니즘은 돈이 되지 않기 때문이다.

⑤ 셋째, 페미니즘은 돈이 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서 여성 개발자로만 모인 그룹에서 이루다를 개발했다고 가정해보자. 페미니즘에 관심도 많고 성소수자나 노동자 인권에도 관심이 있는 이루다는 금방 망할 게 뻔하다.

국내 시장에서 페미니즘, 성소수자, 노동자 인권은 극단적인 사상으로 비춰져서 아무도 이용하지 않으니까 자연스럽게 소멸되는 것이다.

쉽게 말해서 대중이 애착을 가지고 구입할 수 있는 상품성이 없어서 이루다는 페미니스트가 될 수 없고, 또 페미니스트가 되어서는 안 된다. 

페미니즘 인공지능 챗봇이라고 공개되는 순간 낙인이 찍혀 비난만 받을 테니까. 

⑥ 페미니즘에 대한 인식이 개선되고 더 넓게 확장되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여전히 소수의견이다. 얼마나 많은 회사들이 이런 소수의견을 위한 서비스를 만들 자금적인 여유와 깨어있는 인식을 가지고 있을까?

결론적으로 이루다를 만든 기업 자체를 비난하는 건 큰 도움이 되지 않는다. 오히려 어떻게 이런 일이 반복해서 일어나고 있는지 철저하게 분석해야 한다.

왜 여성은 개발자가 될 수 없으며 페미니즘이란 이유로 시장에서 매도당해야 하는지 고민하고 개선점을 찾아야 한다.

이런 사유도 없이 "남성 개발자가 많아 나쁜 기업, 남성적인 이루다"라고 말하는 건 소모적인 논쟁만 부추길 뿐이다.

⑦ 구조가 바뀌지 않으면 그 어떤 개혁도 불가능하다. 제도는 구조로부터 나오고 구조는 인식에서부터 나온다. 여성에 대한 인식을 바꾸는 교육, 관련 컨텐츠의 생산과 공급, 전달 방법 등 전반적인 점검이 필요하다.

반응형